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가다실9가 효능

건강

by 다있음 2020. 10. 20. 21:35

본문

728x90
728x90

자궁경부암은 한국 여성암 중 가장 많이 발생되는 암 중 하나입니다.

 

 

자궁의 구조 중 하부 1/3에 해당하는 자궁경부에서 발생하는 질환 입니다.

 

어떤사람에게 나타날 확률이 높을까?

17세 이전의 이른 성관계를 가진 여성, 여러 남성과 성관계를 가진 여성, 여러 명의 여성과 성관계를 가진 배우자를 둔 여성일수록 암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이는 아마도 성관계로 전파될 수 있는 인유두종바이러스(HPV)에 감염될 가능성이 더 증가하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됩니다.

 

저는 수 많은 암 종류에서 예방 할 수 있는 유일하게 가능성이 높은 자궁경부암 HPV 백신에 대해 포스팅 하려 합니다.

이 포스팅은  자궁경부암 hpv를 예방 할 수 있는 백신 '가다실' 에 대해 알립니다.

+ 저는 참고로 9년전에 '서바릭스'를 맞았고, 성경험이 없던 때에 맞았기 때문에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합니다.

하지만, 서바릭스의 효능과 가다실4가, 가다실9가의 효능효과 차이가 다르기 때문에 (바이러스 종류) 

추가로 이번주에 가다실 9가 백신을 접종 할 예정입니다.

가다실가격, 서바릭스가격, 가다실9가 가격, 가다실4가 가격은 

병원마다 차이가 있는데 보통 3회를 맞습니다.

3회를 한번에 결제하면 조금 더 저렴하다고 하니 저는 그렇게 접종했습니다.

 

가다실9가 (9가지 유형 바이러스 예방)

 

효능 효과

1. 여아 및 여성 (만 9~26세 여아 및 여성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에 의한 질병 예방)
- 인유두종바이러스 16, 18, 31, 33, 45, 52 및 58형에 의한 자궁경부암, 외음부암, 질암, 항문암
- 인유두종바이러스 6,11형에 의한 생식기 사마귀(첨형콘딜로마)
- 인유두종바이러스(HPV) 6, 11, 16, 18, 31, 33, 45, 52 및 58형에 의한 지속적 감염 및 다음의 전암성 또는 이형성 병변의 예방
: 자궁경부 상피내 선암,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,질 상피내 종양, 항문 상피내 종양


2. 남아 및 남성 (만 9~26세 남아 및 남성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의 예방)
- 인유두종바이러스 16, 18, 31, 33, 45, 52 및 58형에 의한 항문암
- 인유두종바이러스 6, 11형에 의한 생식기 사마귀(첨형콘딜로마)
- 인유두종바이러스(HPV) 6, 11, 16, 18, 31, 33, 45, 52, 58형에 의한 다음의 전암성 또는 이형성 병변의 예방 : 항문 상피내 종양

https://toobigdata.tistory.com/24

 

자궁경부암 검사 / 자궁경부이형성증 원인 (반응성세포변화, ASCUS, LSIL, HSIL)의 의미

최근 자궁경부암 검사를 받았는데, 반응성 세포변화 (자궁경부암 음성) 결과가 나왔습니다. 분명 음성인데 '반응성 세포변화' 라고 쓰여있었습니다. 의사선생님한테 상담했더니 일단은 가벼운 '

toobigdata.tistory.com

 

접종대상 및 방법

\(1) 만 9~14세 : 0,6~12개월 일정으로 2회 접종 또는 0,2,6 개월 일정으로 3회 접종한다.

  (2) 만 15~26세 : 0,2,6개월 일정으로 3회 접종한다.
    2회 접종 일정의 경우, 만약 1차 접종 후 5개월 이전에 2차 접종이 이루어지면, 2차 접종 후 최소 4개월 간격을 두고 3차 접종하도록 한다.
    3회 접종 일정의 경우, 2차 접종은 1차 접종일로부터 최소 1개월 후, 3차 접종은 2차 접종일로부터 최소 3개월 이후에 이루어져야하며,1년   이내에 3회 접종을 모두 완료해야한다.

+ 이 백신의 유효성은 임상시험에서 1년 이내에 3회 접종을 모두 마친 경우 입증되었다.

 

사용상의 주의사항

유의사항

1.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
: 이 백신이나 가다실 또는 각 백신의 성분에 과민한 사람 (이 백신이나 가다실 접종 후 과민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추가 접종하지 않는다)

2.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
1) 현재 또는 최근 열성 질환이 있는 자

2) 저혈소판증이나 기타 혈액응고장애가 있는 환자

3. 약물이상반응
: 이 백신이나 가다실 투여군에서 발현율이 1.0% 이상이고 위약 투여군에 비해 높은 발현율을 나타낸 백신관련 이상사례 : 통증, 종창, 홍반, 가려움증, 혈종, 두통, 발열, 구역, 어지러움, 사지 통증 등.

 

  • 임부를 대상으로 한 적절한 비교 임상시험은 실시된 바 없으므로, 이 백신 접종 중 임신은 가급적 피한다.
  • 수유부에 대한 투여는 백신에 의해 유도된 항원 또는 항체가 유즙으로 이행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으며, 백신접종기간 동안 수유를 받은 유아들에게서 백신과 관련된 중대한 이상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.
  • 소아에 대한 투여는 만 9세 미만의 소아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평가된 바 없다.
  • 고령자에 대한 투여는 만 65세 이상의 성인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평가된 바 없다.
  • ※ 보다 자세한 정보는 의료전문인과 상의하시기 바랍니다.

 


다음 포스팅에서는 가다실 4가효능  , 서바릭스 효능에 대한 정보와 남성 가다실 접종 효능에 대한 내용입니다.

728x90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